나는 웹호스팅이 싫다.

중소 웹호스팅 회사에서 퇴사한지도 한 1년 정도 흘렀으니 비로소 회고 같은 걸 써봐도 될 것 같다. 이미 다닌지 6개월 정도 되었을 적에 한번 쓰긴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 쓰는 이유는 좀 더 기술적인 설명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웹호스팅 개요 웹호스팅이란 웹서버를 서비스 형태로 임대하는 것이다. 일종의 SaaS 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웹호스팅은 2000…… 나는 웹호스팅이 싫다. 계속 읽기

아수스 AC750L에 OPENWRT 설치 후기

집이 풀옵션 원룸이어서 지역통신사 100 Mbps 인터넷이 있었다. 처음엔 아수스 공유기를 샀다. 하지만 발열 문제인지 지속적으로 인터넷이 끊겼고 상태를 확인했을 때 공유기는 따뜻하고 메모리와 CPU 사용률을 80% 를 넘어갔었다. 지속적으로 문제가 발생하여 결국 IPTIME 공유기를 써서 사용했다. 하지만 요즘 디스코드에서 상주하다시피 있는 일이 많았고, 디스코드 음성채팅방에서 지속적으로 끊김이 발생하여 결국 테스트하다가 해외 인터넷 문제라고 판단하여…… 아수스 AC750L에 OPENWRT 설치 후기 계속 읽기

MySQL MyISAM 과 InnoDB 차이

MySQL 은 간편하다는 장점으로 웹 분야에서 다양하게 쓰인다. 보통 웹에서 DB 하면 MySQL 을 뜻하는 것처럼 말이다. 워드프레스, 그누보드 등과 같은 프로그램들도 보통 MySQL 과의 연동하기 때문이다. 다만 MySQL 은 오래되고 다양하게 쓰이는 만큼 버전에 따라 미묘하게 다른 부분들이 있다. 역시 제일 큰 변화라고 하면 MySQL 이 오라클에 인수됌에 따라 MariaDB 가 나온 것이다. MySQL…… MySQL MyISAM 과 InnoDB 차이 계속 읽기

디스크

해당 글은 100 퍼센트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가 경험에서 취득한 것들을 정리하는 형태의 글입니다. 그래서 혹시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여 코멘트 주신다면 감사합니다. 해당 시리즈가 업데이트 된다면 업데이트 내용 또한 기록될 것 같습니다. 디스크는 중요한 부분이다 실질적인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디스크가 터진다는 것은 여러모로 귀찮은 상황을 만든다, 사람에게든 컴퓨터에게든 HDD와 SSD의 차이를 적을까 말까…… 디스크 계속 읽기

메모리

해당 글은 100 퍼센트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가 경험에서 취득한 것들을 정리하는 형태의 글입니다. 그래서 혹시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여 코멘트 주신다면 감사합니다. 해당 시리즈가 업데이트 된다면 업데이트 내용 또한 기록될 것 같습니다. 컴퓨터의 구조는 무척이나 다루기 어려운 부분이다. 정확하게 이렇다라고 말하기 어려운 부분들도 있고, 시대에 따라 달라진 부분들도 많기 때문이다. 그래도 최대한 아는데까지 정리해보려고…… 메모리 계속 읽기

백업

해당 글은 100 퍼센트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가 경험에서 취득한 것들을 정리하는 형태의 글입니다. 그래서 혹시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여 코멘트 주신다면 감사합니다. 해당 시리즈가 업데이트 된다면 업데이트 내용 또한 기록될 것 같습니다. 백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항상 데이터는 어떠한 이유로든 날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주로 사람의 실수 때문에 날아가는 경우가 많지만…… 백업 계속 읽기

HTTP 코드

해당 글은 100 퍼센트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가 경험에서 취득한 것들을 정리하는 형태의 글입니다. 그래서 혹시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여 코멘트 주신다면 감사합니다. 해당 시리즈가 업데이트 된다면 업데이트 내용 또한 기록될 것 같습니다. 보통 이런 건 코드 번호랑 에러 메시지가 같이 떠서 크게 외울 필요가 없고 자주 봐서 익숙해지기 마련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시 모아두는 글이…… HTTP 코드 계속 읽기

워드프레스 설치 후기

원래는 블로그로 인터넷 생활을 시작했었다 얼마전에 네이버 블로그를 들어가니 약 12년 전에 만들었다고 되어있었다. 그렇게 블로그에 조금씩 글을 써보다가 스마트폰을 사고 소셜 미디어를 시작한 뒤로 싹 정리하고 소셜 미디어로 넘어갔었다. 하지만 역시 뭔가 길게 글을 쓰는 곳은 블로그만한 곳이 없다, 또 이것저것 공부한 내용들을 내가 나중에 찾아보기 편하려고 해도 블로그만한 곳이 없어서 다시 시작했다가 파편화된…… 워드프레스 설치 후기 계속 읽기

LAMP 스택에 대해서

LAMP 스택은 웹사이트를 운영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번들들을 이야기한다. Linux, Apache, MySQL or MariaDB, PHP 들을 묶어서 이야기한다. Linux는 운영체제, Apache는 웹서버, MySQL or MariaDB 는 데이터베이스, PHP는 동적웹 등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LAMP 스택을 주로 사용하는 곳으로는 워드프레스와 그누보드, 제로보드, 페이스북, 기타 중소 사이트들이 있다 Linux 리눅스는 운영체제로 서버 쪽에 주로 쓰인다. 서버 쪽에 주로…… LAMP 스택에 대해서 계속 읽기

Postgresql 설치, 세팅

원래 업무상 mysql을 사용했었는데 chembl(https://www.ebi.ac.uk/chembl/)이란 연구소에서 화학 DB을 무료로 공개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데이터 베이스를 다운로드 받았다. 다운로드 받아보니 postgresql도 지원해서 한번 사용해보기 위해 셋팅한 내용들이다. postgresql을 mastodon에서도 사용하기도 하고 이래저래 관심이 가고 있던 터라 한번 설치해보았다. $ sudo apt install postgresql UBUNTU 를 사용하고 있어 apt 명령어로 설치해준다. 설치가 끝나면 접속해서 유저 비밀번호를 추가한다.…… Postgresql 설치, 세팅 계속 읽기